흥미로운 수다
제주도 계절 명소를
데이터로 알아본다고요?
실제 여행 정보 기반 국내 여행지 추천
! 짧지만 알차고 즐거운 여행을 위해, 오늘도 열심히 검색 중이신가요?
여행지 정보를 검색하다 보면 너무 많은 정보와 광고가 뒤섞여 있어 유용한 내용을 찾기 어렵더라고요.
오늘은 신뢰성 100%!
국내 여행 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술을 소개하고, 그 기술로 도출된 제주도의 핫플레이스를 소개해 드릴게요.
찐 국내 여행 데이터의 등장
SK텔레콤은 기지국의 위치 정보 패턴을 분석하여 ‘국내 여행’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?
여행의 [시작, 체류, 방문, 종료]까지 4단계로 나누어 사람들의 이동 패턴을 정리하고 있는데요.
이 정보를 활용해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고, 요일별/시간대별 예상 소요 시간도 알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하고 놀랍습니다!
아래 기준에 따라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데이터를 만들고 있다고 해요.
참고해 주세요!
데이터 선정 기준
-
여행지 단위
시/군/구 단위
-
방문 지역
동/리 단위
-
여행 장소
관광지, 숙박시설, 음식점
-
여행자 수
SK텔레콤 시장점유율을 고려한 보정 수치
-
여행자 특성
성별, 연령, 동반자 유형 (가족, 아이 등)
-
제공 대상
전국 250개 시/군/구 중 여행지 특성을 보이는 123개 시/군/구
데이터 패턴으로 알아본 OX 퀴즈
그럼 여기서 퀴즈를 하나 도전해 볼까요?
- OX 퀴즈
- 제주도 여행은 주말에 더 많이 간다
-
정답은

입니다!
데이터에 따르면 제주도는 주말보다 평일에 많이 간대요.
자세히 살펴보면 주말에는 전체 국내 여행자 중 제주도 여행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~4%밖에 되지 않지만, 주중에는 8~10%나 된다고 해요.
그럼 ‘국내 여행’ 데이터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
위에서 살펴본 ‘여행지의 특징과 여행자 증감 추이’ 외에도 여행자 규모, 여행자 수, 체류 시간, 방문 POI(관심 지역)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.
국내여행 API 보러가기
계절별 제주도 핫플레이스 추천
기지국 기반 위치 정보로 이렇게 다양한 사실을 알 수 있다니, 정말 재미있죠?
이런 데이터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제주도의 사계절 핫플레이스를 뽑아볼 수 있어요!
그럼 국내 여행 데이터를 분석해 선정한 제주도의 계절별 여행 명소와 키워드를 한번 알아볼까요?
봄 3~5월
-
명소
가파도(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)
-
키워드
유채꽃, 청보리, 황금보리
-
이유
국내에서 가장 먼저 유채꽃과 청보리밭 감상 가능
여름 6~8월
-
명소
한림읍 옹포리(협재 해수욕장 인근),
한림읍 금능리(금능해수욕장),
한경면 판포리(판포포구)
-
키워드
해수욕장, 스노클링
-
이유
해수욕장 인근 지역, 스노클링 명소
가을 9~11월
-
명소
조천읍 대흘리, 선흘리, 와흘리,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
-
키워드
하얀 메밀꽃밭, 와흘메밀마을 축제, 새별오름
-
이유
국내 대표 메밀꽃 명소
겨울 12~1월
-
명소
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
-
키워드
동백꽃, 제주 동백수목원
-
이유
동백꽃 구경을 위한 최고의 명소
계절마다 달라지는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결과인 것 같아요.
실제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여행지 추천, 정말 유용하죠?
올해는 아름다움으로 무장한 제주의 사계절을 즐기러 가 보는 건 어떨까요?